#함수
7//2 버림 나눗셈 3.5 에서 3만 나오게
7 % 2 나머지 연산(modulo operator) 3 나머지 1, 1만 나오게
4/2 = 2.0 (float)
" " 안에 " or ' 표시시 \(역슬러시 사용)
round함수 (반올림)
round(3.1415926525) -> 3
round(3.1415926525,3) -> 3.141
int(3.8) -> 3 정수변환
int("2") + int("5") -> 7
float(3) -> 3.0 소수변환
float("1.1") + float("2.5") =
str(2) -> 문자열
str(2) + str(5) = 25
age = 7
print("제 나이는" + str(age) + "살입니다.")
print(int("Hello world!") -> 오류, 숫자 변환 X
# 오늘은 2019년 10월 29일입니다.
year = 2019
month = 10
day = 29
#format 메소드
print("오늘은" + srt(year) + "년" + str(month) + "월" + str(day) + "일입니다.")
print("오늘은 {}년 {}월 {}일입니다.".format(year, month, day))
day_strint = "오늘은 {}년 {}월 {}일입니다."
print(date_string.format(year, month, day))
day_strint = "오늘은 {}년 {}월 {}일입니다."
print(date_string.format(year, month, day+1)) 하루 추가
print("저는 {1}, {0}, {2}를 좋아합니다!".format("박지성", "유재석", "빌 게이츠")
num_1 = 1
num_2 = 3
print("{0} 나누기 {1}은 {2:.3f}입니다. ".format(num_1, num_2, num_3)
소수점 3자리
print("{0} 나누기 {1}은 {2:.0f}입니다. ".format(num_1, num_2, num_3)
정수로 나타낼때
round 함수로 표현시
print("{0} 나누기 {1}은 round({2}, 2)이다".format(num_1, num_2, num_1 / num_2)) (x)
print("{0} 나누기 {1}은 {2}입니다.".format(num_1, num_2, round(num_1 / num_2, 2)) (o)
#문자열 포맷팅 방식
%기호 (가장 오래된 방식)
#%s%name
name = "최지웅"
age = 32
print("제 이름은 %s이고 %d살입니다." % (name, age))
#format 메소드 (현재 가장 많이 쓰는 방식)
{}.format(name)
name = "최지웅"
age = 32
print("제 이름은 {}이고 {}살입니다.".format(name, age))
.format
def myselff(name, age, nationality):
print('My name is {}\nMy age is {}\nMy nationality is {}'.format(name,age,nationality))
#f-string (새로운 방식)
f {name} {age}
name = "최지웅"
age = 32
print(f"제 이름은 {name}이고 {age}살입니다.")
1. def hello(name):
2. print(f"안녕하세요. {name}입니다.")
3. print("만나서 반갑습니다.")
4.
5.
6. print("함수 실행 전")
7. hello("영훈")
8. print("함수 실행 후")
#불대수
불대수의 값, 진리값
True False
일반 수학의 연산 : + - * /
불대수의 연산 : AND, OR
명제 : 참, 거짓
- NOT TRUE -> FALSE
- NOT FALSE -> TRUE
- == 같다
- != 같지않다
- Ture or False = True
- True and False = False
#불린(Boolean)
print(True)
print(False)
#type 함수
print(type(3)) -> class 'int'
print(type(3.0)) -> class 'float'
print(type("3") -> class 'str'
print(ytpe(True) -> class 'bool'
print(type(hello)) -> class 'function' 함수로 정의(정의한 함수)
print(type(print)) -> class 'builtin_function_or_method' 파이썬에 내장된 함수
ex)
print(type(4/2) = class'float' 4/2 = 2.0
print(type("True")) = class'bool'(x) class'str' -> Ture = bool / "True" = str (" " 차이)
name = "김현승"
x = 7
x= x + 1 (지정연산자 : +1 해라, 정답은 8)
'파이썬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파이썬 모듈 (0) | 2022.02.03 |
---|---|
4. 토픽 (0) | 2022.01.21 |
3. 제어문 (0) | 2022.01.17 |
2. 추상화 (0) | 2022.01.16 |